1. 개별 원가계산(Job-Order Costing)의 의의
(1) 개별 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
(2) 개별 원가계산의 특징
① 제조직접비와 제조간접비의 구분이 매우 중요하다
-> 제조직접비(직접재료비와 직접노무비)는 개별 작업과 관련해 직접 추적 가능하므로 발생한 원가를 즉시 개별 작업에 배부하지만, 제조간접비는 개별 작업과 관련하여 직접적으로 추적할 수 없으므로 기말에 별도로 배부하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② 기말에 제조간접비의 배부절차를 행하고 나면 완성품뿐만 아니라 작업이 진행 중인 기말 재공품에 대해서도 그 원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기말 재공품의 평가 문제가 추가로 발생하지 않습니다.
2. 개별원가계산의 원가 집계
(1) 개별 원가계산의 원가 집계
① 제조원가의 집계
ⓐ 직접 재료비
-> 제조과정에서 소비된 재료의 소비액을 기록하는 집합 계정으로 사용한 품목의 수량 X 단가 가 금액이 됩니다.
ⓑ 직접노무비
-> 제품 제조를 위해 노동력을 소비했을 때 발생하는 원가요소로 임금, 급료, 상여수당 등을 지급 시 급여 계정을 설정하며, 보통 작업시간을 기준으로 지급됩니다. 작업시간 X 임률 이 금액이 됩니다.
ⓒ 제조간접비
⒜제조간접비는 개별 작업과 관련해 직접적으로 추적할 수 없으므로 발생과 동시에 직접 부과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기말에 일정한 배부기준에 의하여 개별 작업에 배부하는 절차를 통해 간접적으로 제조원가에 포함시키게 됩니다.
⒝ 원가배부기준
- 제조간접비 배부기준은 제조간접비의 발생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져야 하고, 논리적으로도 타당한 인과관계가 있어야 합니다.
- 제조간접비의 배부기준은 쉽게 적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공장 전체 제조간접비 배부율과 부문별 제조간접비배부율
-> 대부분의 제조기업에서는 여러 부문에서 순차적으로 작업을 수행하여 제품을 생산하는데, 이와 같이 제조활동에 직접 참여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부문을 제조부문이라고 하며 공장 내에 여러 개의 제조부문이 있을 경우 제조간접비를 개별 작업에 배부하는 방법은 다음의 두 가지가 있습니다
① 공장 전체 제조간접비 배부율(Plant-Wide Overhead Rate)
-> 계산과 사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제조간접비의 규모나 성격이 제조부문간에 상이하고 개별 작업을 위해 각 제조부문에서 소요되는 시간 등이 크게 다를 경우에는 제품 원가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② 부문별 제조간접비 배부율(Departmental Overhead Rate)
-> 각 제조부문별로 해당 제조부문의 특성에 따라 제조간접비의 배부가 이루어져 보다 정확한 제품 원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계 집약적인 제조부문은 기계 시간을, 노동집약적인 제조부문은 직접 노동시간을 배부기준으로 사용해 각 제조 부문의 제조간접비를 더 정확하게 배부 가능합니다.
3. 보조 부문 원가의 배분
(1) 보조 부문원가배분의 의의
① 보조부문
-> 대부분의 제조기업에서는 제조부문의 제조활동을 도와주기 위하여 보조 부문을 두게 되는데, 보조 부문(Auxiliary Department)이란 제조활동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으나 제조부문의 제조활동을 보조하기 위하여 용역을 제공하는 부문을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전력부문, 수선 부문, 공장관리 부문 등이 있습니다.
② 보조 부문 원가배분의 절자
ⓐ 보조부 문과 제조부문 등 부문별로 제조간접비를 집계합니다.
ⓑ 집계된 보조 부문 원가를 제조부문에 배분합니다.
ⓒ 제조부문 자체의 제조간접비와 보조 부문에서 배분된 원가를 합산해 개별 작업(제품)에 배부합니다.
(2) 보조 부문 원가의 배분 방법
-> 보조 부문이 제조부문에만 용역을 제공한다면 보조부문원가의 배분은 그리 어렵지 않으나, 보조부문 상호 간에도 용역을 주고받는 경우(전력부문이 생산하는 전력의 일부를 수선부문에서 소비, 수선부문이 제공하는 수선용역의 일부를 전력부문에서 소비) 배분이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보조부문 상호 간의 용역 수수 관계를 어느 정도 인식하는지에 따라 ① 직접 배분법, ② 단계 배분법, ③ 상호 배분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① 직접 배분법(Direct Method)
ⓐ 보조 부문 상호 간의 용역 수수 관계를 완전히 무시하는 방법으로 보조 부문 원가를 제조부문에 직접 배분합니다.
ⓑ 장점 : 간단한 계산
ⓒ 단점 : 원가배분을 왜곡시켜 결과적으로 제품 원가까지도 왜곡 가능성이 있습니다.
② 단계 배분법(Step Method)
ⓐ 보조 부문 상호 간의 용역 수수 관계를 부분적으로 인식하는 방법으로 보조 부문 원가의 배분 순서를 정하여 그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보조부문원가를 다른 보조부문과 제조부문에 배분합니다.
ⓑ 장점 : 합리적인 배분순서를 정한다면 비교적 정확한 원가배분이 됩니다.
ⓒ 단점 : 어느 정도의 부정확성은 항상 존재합니다.
③ 상호 배분법(Reciprocal Method)
ⓐ 보조 부문 상호 간의 용역 수수 관계를 완전히 인식하는 방법으로 보조 부문 원가를 그 보조 부문이 제공하는 용역을 소비하는 다른 모든 부문에 배분합니다.
ⓑ 장점 : 정확한 원가배분이 이루어집니다.
ⓒ 단점 : 계산이 매우 복잡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