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동부채
(1) 유동부채의 의의
부채 중 재무상태표일로부터 1년 이내 혹은 정상영업주기 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부채 |
-> 부채란, 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서 현재 기업실체가 부담하고 그 이행에 자원의 유출이 예상되는 의무를 말합니다. 부채는 여러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각 부채가 상환될 때까지 소요되는 기간을 기준으로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구분합니다. 기업회계기준에서는 재무상태표일로부터 1년이내 혹은 정상영업주기 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부채를 유동부채로, 1년 이후 혹은 정상영업주기를 넘어 만기가 도래하는 부채를 비유동부채로 분류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2) 유동부채의 종류 - 기업회계기준상의 계정분류
(3) 유동부채의 회계처리
① 기계를 100,000원에 외상으로 구입을 하고 기계구입대금을 전액 현금 지급하다.
(차) 기계장치 100,000 (대) 미지급금 100,000 (차) 미지급금 100,000 (대) 현 금 100,000 |
---|
② 은행으로부터 150,000원을 6개월간 연12%의 이자율로 차입하고 만기가 되어 은행차입금을 이자와 함께 전액 현금 지급하다.
(차) 현 금 150,000 (대) 단기차입금 150.000 (차) 단기차입금 150,000 (대) 현 금 159,000 (차) 이자비용 9,000 |
---|
③ 상품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으로 20,000원을 수취하다. 상품매매계약과 관련해 상품을 100,000원에 판매하다.
(차) 현 금 20,000 (대) 선 수 금 20,000 (차) 선 수 금 20,000 (대) 매 출 100,000 (차) 매 출 채 권 80,000 |
---|
④ 출장 중인 종업원이 현금 300,000원을 송금하다. 송금액 중 200,000원은 거래처에서 회수한 외상대금이며, 100,000원은 대여금을 회수한 것으로 밝혀지다.
(차) 현 금 300,000 (대) 가 수 금 300,000 (차) 가 수 금 300,000 (대) 매 출 채 권 200,000 (대)단 기 대 여 금 100,000 |
---|
⑤ 종업원 급여 500,000원 중 갑종근로소득세 원천징수액 50,000원을 차감한 잔액 450,000원을 지급하다. 원천징수한 갑종근로소득세를 세무서에 납부하다.
(차) 급 여 500,000 (대) 현 금 450,000 (대) 예 수 금 50,000 (차) 예 수 금 50,000 (대) 현 금 50,000 |
---|
⑥ 차기분 건물임대료 5,000원을 수령하다. 위의 건물임대료에 공사 기간이 경과하다.
(차) 현 금 5,000 (대) 선 수 임 대 료 5,000 (차) 선 수 임 대 료 5,000 (대) 임 대 료 5,000 |
---|
⑦ 결산일 현재 차입금이자 미지급액은 10,000원이다. 차입금이자액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차) 이 자 비 용 10,000 (대) 미 지 급 이 자 10,000 (차) 미 지 급 이 자 10,000 (대) 현 금 10,000 |
---|
(4) 우발부채 (<-> 확정유동부채)
① 우발상황
-> 미래에 어떤 사건이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궁극적으로 확정된 손실 또는 이득으로서 발생여부가 불확실한 현재의 상태 또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② 우발부채(Contingent Liabilities)
-> 재무상태표일 현재 존재하는 부채는 아니지만 미래 상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우발손실을 재무제표에 인식함에 따라 발생하는 부채를 말합니다.
예) 재무상태표일 현재 계류 중인 소송사건
③ 우발부채의 회계처리
-> 우발부채는 발생할 가능성도 불확실하며, 지급할 금액도 불확실하므로 그 불확실성 정도에 따라 회계처리를 달리해야 합니다.
금액의 합리적 추정이 가능할 경우 | 금액의 합리적 추정이 불가능한 경우 | |
---|---|---|
거의 확실(Probable) | 우발채무 기록(손실인식) | 주석 공시 |
어느 정도 가능(Possible) | 주석 공시 | 주석 공시 |
가능성 희박(Remote) | 공시하지 않음 | 공시하지 않음 |
※ 우발이득은 그 발생가능성이 확실한 경우에만 주석으로 기재하며 재무제표에는 반영하지 않습니다.(보수주의)
④ 우발손실의 사례
ⓐ 제품의 품질보증과 관련된 의무
ⓑ 판매촉진을 위한 경품권과 관련된 의무
ⓒ 계류 중인 소송사건이나 손해배상책임
ⓓ 타인의 채무에 공사 지급보증
ⓔ 수취채권을 이전할 때 부여한 상환청구권
ⓕ 수취채권의 대손가능성 등
댓글